About Phytochemical

파이토케미컬에 대한 모든 궁금증

WHAT


파이토케미컬이 무엇인가요?


Phyto

'식물'

+

Chemical

'화학물질'

= 식물성 화학물질


해충, 자외선, 비와 바람 등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도망칠 수 없는 식물이 스스로를 보호하고자 만들어 낸 물질입니다. 채소, 과일, 곡식류 등 식물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제7의 영양소'로 불리기도 해요.


녹색 채소, 토마토의 빨간색, 레몬의 시트러스향 등

식물의 고유한 색과 향, 맛을 결정하는 시그니처 성분이죠.

About Phytochemical

파이토케미컬에 대한 모든 궁금증

WHAT

파이토케미컬이 무엇인가요?


Phyto

'식물'

+

Chemical

'화학물질'

= 식물성 화학물질


해충, 자외선, 비와 바람 등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도망칠 수 없는 식물이 스스로를 보호하고자 만들어 낸 물질입니다. 채소, 과일, 곡식류 등 식물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제7의 영양소'로 불리기도 해요.


녹색 채소, 토마토의 빨간색, 레몬의 시트러스향 등

식물의 고유한 색과 향, 맛을 결정하는 시그니처 성분이죠.


WHY

파이토케미컬은 왜 중요한가요?


파이토케미컬은 식물에게 방어막이 되어 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좋은 작용은 높여 주고, 해로운 것은 낮춰 주어 우리의 건강에도 이로운 작용을 합니다.

 항산화 작용 증가, 면역 기능 증가, 해독 작용 증가에 도움

 노화 속도 감소, 암세포 성장 속도 감소, 고혈압·야맹증·골다공증 등 각종 질환 발병 감소에 도움


WHO

누가, 어떤 파이토케미컬을 가지고 있나요?


보통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검은색, 흰색 등 식물의 색에 따라 함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파이토케미컬이 달라져요.

같은 색을 띠는 야채와 과일은 유사한 파이토케미컬 성분을 가지고 있어 함께 섭취하면 영양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죠.

다섯 가지 색의 야채가 가지고 있는

파이토케미컬을 소개합니다.

식물
대표 파이토케미컬
효능
빨간색
석류, 레드비트, 토마토, 수박, 딸기 등라이코펜, 베타인, 엘라그산 등항노화, 혈관 및 전립선 건강에 도움
초록색
시금치, 케일, 브로콜리, 새싹보리, 밀싹 등베타카로틴, 클로로필, 루테인, 설포라판 등눈·뼈 건강 증진, 해독 작용,
면역 기능 향상
노란색
감귤, 레몬, 호박, 옥수수, 파인애플 등베타크립토잔틴, 베타카로틴, 헤스페리딘 등피로 예방, 신진대사 증진,
성장기 건강에 도움
(어두운) 자색·검은색
검은콩, 흑미, 아로니아, 블랙베리, 포도 등안토시아닌, 라스베라트롤 등노화 지연, 고혈압·동맥경화·심근경색 등 예방
흰색
양파, 마늘, 순무, 배, 버섯 등퀘르세틴, 알리신 등면역력 증진, 항염 효과, 콜레스테롤 감소

WHEN

언제 파이토케미컬을 섭취해야 하나요?


파이토케미컬은 생명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한 단백질, 탄수화물 등과 같은 필수 영양소는 아니지만

매일 적당한 양을 먹으면 우리 몸의 방어 능력을 키워주어 노화를 늦추고 질병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성분입니다.


특정한 상황에서 먹는다고 생각하기보다는, 건강을 위해 습관처럼 매일 섭취하겠다는 인식을 갖는 게 중요하죠.


실제로 미국 정부에서는 다섯 가지 색깔의 식물 영양소를 매일 섭취해 건강을 지키자는 '5 A Day' 캠페인을 시작해,

헝가리(3 A Day), 폴란드(2+2 A Day), 덴마크(6 A Day), 프랑스(10 A Day) 등 다양한 슬로건을 탄생시키기도 했습니다.


WHERE

파이토케미컬은 어디에 많나요?


강렬한 자외선, 비와 바람을 견뎌낸 껍질,

땅속 병충해들과 싸우며 자라난 뿌리,

그 외 씨앗, 줄기, 잎, 과육까지 식물 전체에 분포하는 파이토케미컬.


과일의 단맛을 결정짓는 당분은 대부분 과육에 들어 있지만

식물만이 가진 영양소, 파이토케미컬은 과육 외에도 쉽게 버려지는 껍질과 뿌리 속에 숨어 있습니다.


실제로 양파의 대표적인 파이토케미컬인 퀘르세틴의 부위별 함량을 분석한 한 논문에 따르면,

중심(가식부위인 알맹이)에서 바깥(껍질)으로 갈수록 퀘르세틴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동일 논문에서,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되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도 역시 양파의 껍질 부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죠.

출처 : Kim, S. J., & Kim, G. H. (2006). Quantification of quercetin in different parts of onion and its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5(1), 39-43. / SCIE급


HOW

파이토케미컬은 어떻게 섭취할 수 있나요?


Label the Earth의 다섯 가지 블렌드는

엄선한 야채들의 뿌리부터 껍질까지 통째로 건조하여

야채 속 파이토케미컬을 오롯이 지켜냈습니다.


다양한 식물의 영양을 담은 블렌드 제품과 함께 나만의 파이토케미컬 섭취 루틴을 만들어 보세요.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